오현석

발표 영상

스프링캠프 2024 [Track 2] 3.스프링 R2DBC 연동 기능을 활용한 작은 코틀린 SQL DSL 개발기 (오현석)

스프링캠프 2024 [Track 2] 3.스프링 R2DBC 연동 기능을 활용한 작은 코틀린 SQL DSL 개발기 (오현석)

[중급] 스프링의 R2DBC 클라이언트인 DatabaseClient를 코틀린에서 사용하면 Flow를 통해 간편하게 비동기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 코틀린의 DSL 관련 기능을 활용하면 원하는 DSL을 손쉽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제 발표에서는 스프링 DatabaseClient를 사용해 비동기 REST API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정과 몇가지 팁을 함께 공유하고, DatabaseClient에 사용하기 위한 SQL 쿼리 DSL을 코틀린으로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코틀린의 강력한 DSL 기능을 함께 살펴봅니다. 스프링은 잘 모르셔도 되지만, 코틀린 중급 정도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특히 Flow, 확장함수와 수신객체 지정 람다, 인라인, 제네릭스 등을 사용하는 코드를 발표 내내 보시게 됩니다.

참여 컨퍼런스

SpringCamp 2024

SpringCamp 2024

* 소프트웨어 설계 및 개발 효율화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 * 주요 테마 및 트렌드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소프트웨어 설계와 코드 정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켄트 백은 소프트웨어 설계가 코드의 단순한 작성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코드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임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의 도입과 운영 전략, 특히 데이터베이스 분리 및 트랜잭션 관리 전략이 주요 주제로 다뤄졌습니다. 이와 함께 코루틴과 버추얼 스레드를 활용한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효율적인 방법이 대규모 시스템에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핵심 트렌드로 부각되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들은 팀 간 협업을 촉진하고,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 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새로운 기술 및 혁신 컨퍼런스에서는 새로운 기술과 도구들이 많이 소개되었습니다. 가장 주목받은 기술 중 하나는 Fixture Monkey로, 이는 Java 및 Kotlin 환경에서 테스트 객체를 쉽게 생성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Naver에서 시작된 이 라이브러리는 복잡한 테스트 코드를 간소화하여 개발자들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JDK 21에서 도입된 버추얼 스레드는 경량 스레드를 제공하여 대규모 동시성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있어 중요한 혁신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테스트 및 성능 최적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결론 및 향후 전망 컨퍼런스의 결론에서는 소프트웨어 설계와 개발 효율화가 미래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임이 강조되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같은 구조적 접근법을 통해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또한, Fixture Monkey와 같은 테스트 자동화 도구의 발전은 향후 개발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방향성에 따라 차기 컨퍼런스에서는 더 나은 소프트웨어 설계 방법론과 최신 기술의 도입 전략, 그리고 지속 가능한 개발 문화 형성을 위한 다양한 사례와 연구들이 다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함께한 호스트

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KSUG)

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KSUG)

KSUG는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여 뉴스와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를 같이 해결하는 곳이며 스터디, 세미나, 컨퍼런스 참여 등의 오프라인 활동을 합니다.